[Segmentation] 좋은 블로그 공유 Segmentation 관련하여 좋은 블로그 글이 있어서 공유해드려요.https://meetshah1995.github.io/semantic-segmentation/deep-learning/pytorch/visdom/2017/06/01/semantic-segmentation-over-the-years.html 중간에 나오는 저자의 git을 가보니 유사한 형태의 3개의 network가 pytorch로 구현이 되어있네요. https://github.com/meetshah1995/pytorch-semseg public data를 load하는 코드도 구현이 되어있어서 test는 쉽게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. 더보기 [Learning From Data] Chapter 1 예전부터 이 주제로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, 이제서야 글을 쓰게되네요. Learning From Data는 제가 기계학습을 처음 시작할 때 공부를 했던 책입니다.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시작을 했었지요. CalTech의 Mostafa 교수님께서 쓰시고 현재 MOOC로도 제공 중 입니다.Deep Neural Net이 각광을 받으면서 기계학습 강의의 대부분이 Neural Net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요즘에 많이 받는데요개인적인 생각으로는 Neural Net을 공부하기 이전에 기계학습에 대해 공부를 먼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.아무튼 예전에 공부를 했던 Learning From Data책을 저도 복습을 하면서 글을 찬찬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. Chapter 1에서는 기계학습의 필요.. 더보기 미국 취업비자 글 쓰기전 여담이지만, 예전 학사 졸업 후에는 대기업vs중소기업이 큰 고민이였으나, 석사 졸업을 앞둔 지금 시점에서는 국내취업vs해외취업이 큰 고민인거 같다. 그만큼 생각도 넓어진거 같기도하고, 요즘 한국을 보고있자니 내 나이 이제 29이지만 벌써부터 답답하다는 느낌이 드는게 사실.내 전공(컴퓨터공학)의 특성상 해외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는 조금 많이 열려있는 듯하다. 그러나 무턱대고 달려들기에는 해외취업은 그만큼 리스크는 있는 것 같다. 애매하게 몇 년을 보내고 나면 그만큼 내 커리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이니깐많은 해외 취업 희망자들이 영미권(미국, 캐나다, 호주 등)을 희망하고 있고 나 또한 실리콘벨리를 꿈꾸지만 현실적으로 차근차근 알아보기로 했다.우선 미국의 취업 비자에 대해 구글링 돌리고 정보 줍줍.. 더보기 이전 1 ··· 9 10 11 12 다음